심리상담센터 공감

대상/프로그램

집중력과 ADHD

  • 대상/프로그램
  • 집중력과 ADHD
  • 집중력과 ADHD
  • 성인 ADHD

집중력 그리고 ADHD -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집중력이란 현시점에 가장 중요한 일에 정신을 집중하고 그 외의 불필요한 자극에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을 수 있는 힘을 말합니다. 이는 가장 기본적인 뇌기능 중 하나이며 편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 위해 가장 중요한 능력입니다. 집중력이 많이 부족해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라고 부릅니다. 대개 유치원이나 학교에 가면서 ‘문제’가 뚜렷해지는데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충동성이 모두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둘 중 한 가지가 두드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주의력결핍의 양상
    • 공부할 때 오래 집중하지 못하고 금방 주의가 분산된다.
    • 어떤 일을 체계적으로 하지 못하고 부주의해서 실수를 많이 한다.
    • 다른 사람의 말을 귀 기울여 듣지 않는다.
    • 물건을 잘 잃어버리고 할 일을 잘 잊어버린다.
    • 좋아하는 일(게임, 인터넷 등)에 너무 빠져들고 적당한 선에서 멈추지 못한다.
  • 과잉행동/충동성의 양상
    • 수업시간이나 공공장소 등에서 가만히 있지 못하고 앉아서도 계속 꼼지락거린다.
    • 말을 너무 많이 하거나 하고 싶은 말을 참지 못한다.
    • 순서를 기다리지 못한다.
    • 다른 사람을 방해하거나 상대가 싫어하는 행동을 계속한다.
    • 원하는 것이 금방 이루어지지 않으면 몹시 괴로워한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업성취도가 낮다.

기본적으로 공부를 싫어하고 억지로

시켜도 학습의 능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성적이 잘 안 나옵니다.

인간관계가 어렵다.

인기를 얻거나 주목받고 싶은 마음은

많지만 친구들이나 선생님들한테

환영받지 못해 오히려 상처를 받는

일이 많습니다.

부모, 특히 엄마가 힘들다.

야단도 치고 달래도 보고 어떤 때

화가 나서 매도 들어보지만 항상

그때뿐이지 학업이든 생활태도든

아이는 항상 제자리에 있는 것

같아서 무기력감을 느끼게 됩니다.

자존감과 자신감이낮아진다.

스스로를 사랑받을만하고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끼지 못하고, 노력하면

해낼 수 있을 거라는 믿음이

부족하게 됩니다.

진단과 평가

ADHD성향은 비교적 흔하므로 치료가 필요한지 판단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검사들을 시행합니다.

1. 집중력검사(ADS)주의력결핍과 충동성의 정도를 측정하는 컴퓨터프로그램입니다.

2. 인지기능검사 여러 가지 인지기능 중 집중력과 충동성을 반영하는 요소들을 평가해 ADHD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고,
인지기능의 장점과 약점을 파악해서 치료과정에 활용합니다.

3. 정서검사ADHD와 공존하거나 ADHD로 인해 이차적으로 생긴 정서적 문제를 파악합니다.

치료

ADHD의 원인으로는 타고난 기질적 요인이 중요하기 때문에 문제가 뚜렷한 경우 생물학적 접근 즉, 약물치료가 기본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스트레스에 의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경우 아래의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1. 심리치료(놀이치료) 인지행동적 접근을 통해 자기통제력이 부족한 아이들에게 상황을 검토해 계획을 세우게 하고 계획한 것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도록 격려함으로써 아이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킵니다. ADHD와 공존하거나 또는 ADHD 때문에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정서적 문제를 다룹니다.

2. 사회성 훈련 친구사귀기를 어려워하는 아이들에게 필요한 사회기술을 훈련시키고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3. 부모교육 및 상담ADHD인 아이를 야단치지 않고 효과적으로 훈육하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아이와 부모님 모두가 자신감을 되찾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